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

NK세포(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MAX는 NK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를 활용한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NK세포는 우리 몸의 면역계에서 선천면역을 담당하며, 종양세포나 바이러스 감염세포 등 비정상세포를 스스로 인지하여 제거하여 ‘자연살해세포’로 불리웁니다.
특히, 암 항원에 미리 노출되지 않아도 암세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항 종양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K세포의 기능과 중요성

  • 특정한 항원 없이도 비정상세포를
    감지하고 직접 살상
    T세포, B세포와 같은 다른 면역세포와 달리, 특정 항원에 대한 정보 없이도 NK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다양한 면역수용체를 이용하여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세포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면역계를 조절
    NK세포는 수지상세포(DC), 대식세포(macrophage), T세포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생체 내 면역반응, 염증반응 조절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암 세포의 증식과 재발,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
    암의 재발에 중요한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 CSC)나 순환종양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 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암 세포의 증식이나 재발, 전이를 억제합니다.

NK세포 활성화 및 살상 기전

  • NK세포는 특정한 항원의 자극 없이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그에 대응하는 표적 세포 리간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이 조절됩니다.
  • 정상세포들은 세포 표면에 면역세포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인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Class I을 가지고 있습니다. NK세포는 MHC Class I에 특이적인 억제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어, 표적세포의 MHC Class I과 결합하게 되면 활성이 억제됩니다. 암세포나 감염 세포들은 세포 표면의 MHC class I이 감소 혹은 결핍되는데, 이 경우 NK세포는 억제 신호가 감소하여 암세포 및 비정상세포들을 공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활성화된 NK세포는 다양한 과립물질(퍼포린, 그랜자임)을 합성하고 세포 밖으로 분비하여 비정상세포들을 파괴합니다. 그리고 IFN-gamma, TNF-alpha등의 다양한 사이토카인 (cytokine)과 케모카인 (chemokine)을 분비해 항원제시 세포와 직접적인 작용을 하고, 후천면역 세포들을 조절하고 활성화시킵니다.
NK세포 활성화 및 살상 기전 다이어그램

NK세포를 활용한 연구 분야

면역계의 균형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NK세포의 기능이 약해지면 외부 감염에 취약해지고 면역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NK세포는 항암 효과뿐 아니라 정상적인 면역체계 유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NK세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대장암, 폐암, 간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혈액암
노화 및 감염성 질환 대상포진, 알츠하이머, 노인성 질환,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 에이즈(HIV) 감염, 만성 간염 등
자가면역질환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IBD), 전신 홍반성 낭창(Lupus), 다발성 경화증 등
기타 스트레스, 만성피로, 항노화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